中華圈. Great China Region.
1. 개요 ¶
중국인 특히 그 중에서도 한족이 문화, 경제적으로 영향을 발휘하는 곳을 말한다. 당연히 본토의 중화인민공화국과 대만에 자리한 중화민국은 들어간다.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소속 특별행정구이지만 1997년과 1999년 이전까지는 영국과 포르투갈 등 유럽의 식민지였던 홍콩과 마카오도 중화권으로 포함하며 화교로 구성된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의 일부 지역도 중화권으로 친다. 여기서 볼 수 있듯 중화권이라고 해서 꼭 중국 정부의 영향력에 놓인 곳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중화란 말이 영어로 Chinese란 말로 쓰이기에 중국인이 아닌 사람도 중화권에 포함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일본인 배우이자 범중화권 배우로 분류되는 가네시로 다케시. 그를 만약에 그냥 일본인으로 봤다면 적벽에서 제갈공명역을 맡지는 못했을 것이다. 와타나베 켄이 조조를 맡는 안이 취소된 것은 여러 사정이 있지만 그가 일본인이어서 중국인들이 반발했단 이유도 꽤 컸다. 뭐 타마키 히로시는 잘만 목순 역을 맡기도 했지만.(...)
중화권이라고 무조건 정치적으로 한 배를 타진 않는다. 대표적으로 중국과 대만은 양안관계로 서로 대립 중이고, 싱가포르는 남중국해 같은 중국과의 영토분쟁에서는 아세안의 일원으로서 중국과 대립각을 세운다. 또, 홍콩은 심심하면 중국 공산당 반대 시위가 열린다. 하지만 한국을 비롯한 외국인들 사이에서는 보통 이런 세세한 것까지 신경쓰지 않기 때문에, "그래봤자 같은 짱깨잖아"같은 소리를 하기도 한다. 상식인이라면 이런 무식한(...) 소리는 자제하도록 하자.
2. 대표적인 지역 ¶
- 중화인민공화국
- 중화민국
- 홍콩
- 마카오
-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의 일부 지방 - 주로 도시 지역에 많이 분포한다. 특히 수도인 쿠알라룸푸르는 말레이인보다 화교가 더 많을 정도.
- 그 외에 중국어 쓰는 화교들이 사는 해외의 지역. 다만 동남아에서 태국이나 필리핀, 인도네시아 화교들은 중국어를 쓰지 못할 정도로 현지 사회에 동화가 많이 된 탓에 중화권에 포함하긴 좀 애매하다.